'한국인의 식탁' 봄나물, 대황, 오징어누런창, 홍감자 소개
컨텐츠 정보
- 756 조회
- 목록
본문
29일 방송되는 KBS 1TV '한국인의 밥상'은 "울릉도의 봄, 밥상에 피어나다" 편으로 꾸며진다.
동해 바다 한가운데 솟아있는 섬 울릉도. 울릉도에도 봄이 찾아왔다. 겨울이 길어서 더욱 반가운 봄. 혹독한 겨울을 이겨낸 울릉도는 산과 들, 청정바다에서 새로운 먹을거리들을 쏟아낸다. 1880년대, 주민 이주정책을 통해 울릉도로 터를 옮겨온 이들은 그로부터 140여 년 동안 오로지 산자락과 청정 바다에 기대어 살아왔다. 산자락을 개간해 논과 밭을 일구고, 바다에 나가 물고기를 잡으며 억척스럽게 삶을 개척해 온 울릉도 사람들. 그들의 강인한 삶이 눈부신 봄을 맞아 밥상에서 피어난다.
겨울 추위를 뚫고 올라온 봄나물 천국 -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태하리
울릉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선사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주민 이주가 시작된 것은 1882년부터. 이때 최초의 정착지가 바로 태하리이다. 오랜 세월 척박한 산자락에 기대어 화전을 일구며 삶을 개척해온 태하리 사람들의 삶은 겨울 추위를 뚫고 올라온 산나물의 강인함을 닮아있다. 이른 봄, 태하리의 아낙들이 산으로 향한다. 어느새 명이나물, 부지깽이나물, 전호나물이 잔설을 뚫고 싹을 틔웠다. 아낙들에게 봄은 몸이 가장 고달픈 계절이지만, 여전히 가장 설레는 시기다. 산나물은 그녀들에게 생활이자 삶,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녀들이 차려내는 봄 밥상은 봄나물의 천국. 명이나물, 부지깽이나물, 전호나물 등이 상에 오른다. 태하리 사람들의 강인한 삶이 녹아있는 봄 밥상을 만나볼 수 있다.
울릉도 마지막 해녀의 봄 해산물 한 상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울릉도의 동남쪽에 있는 도동에는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들이 가장 먼저 도착하는 도동항이 있다. 50년 이상 물질을 해온 베테랑 해녀 김수자(78세) 씨는 이 도동항 앞바다를 터전 삼아 살아가고 있다. 울릉도에 남은 해녀 8명 가운데 아직도 물질을 하는 단 두 명의 해녀 중 한 명이다. 김수자 해녀는 2025년에도 첫 물질에 나섰다. 바닷가 사람들에게는 명이나물 못지않게 귀한 바다 나물인 대황으로 밥을 짓는데, 고향 제주도를 떠나 울릉도에서 물질을 하며 살아온 김수자 해녀와 박순열 해녀의 삶이 그 속에 담겨있다.
자식들을 위해 차려낸 어머니의 풍성한 봄 밥상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
해발 450m 고지에 위치한 나리분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눈이 많이 내리고 겨울이 긴 곳이다. 한귀숙(71세) 씨는 자식들을 키울 때 해주곤 했던 추억의 음식들로 가족이 함께 먹을 밥상을 준비한다. 고로쇠 수액으로 담근 된장에 오징어의 간인 누런 창을 넣어 강된장을 끓이고, 홍감자로 빚은 골미죽을 내놓는다. 홍감자와 옥수수를 섞어 지은 밥까지 놓인 봄 밥상은 어머니의 정성이 고스란히 담긴 음식들로 가득하다.
봄의 황금 어장에서 건져 올린 밥상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
울릉도의 가장 큰 항구인 저동항에 30여 년 전 울릉도와 독도를 오가던 유람선을 운항하면서 울릉도에 정착한 권인철(61세) 선장이 있다. 그물과 통발을 거두면서 참가오리, 자리돔, 홍해삼이 올라온다. 권 선장은 홍해삼을 참기름과 간장으로 무쳐내고, 문어숙회와 참가오리회를 준비한다. 토박이 선장들과 함께 나누는 이 봄 밥상은 울릉도의 새로운 맛을 찾아가는 과정이 된다.
동해 바다 한가운데 솟아있는 섬 울릉도. 울릉도에도 봄이 찾아왔다. 겨울이 길어서 더욱 반가운 봄. 혹독한 겨울을 이겨낸 울릉도는 산과 들, 청정바다에서 새로운 먹을거리들을 쏟아낸다. 1880년대, 주민 이주정책을 통해 울릉도로 터를 옮겨온 이들은 그로부터 140여 년 동안 오로지 산자락과 청정 바다에 기대어 살아왔다. 산자락을 개간해 논과 밭을 일구고, 바다에 나가 물고기를 잡으며 억척스럽게 삶을 개척해 온 울릉도 사람들. 그들의 강인한 삶이 눈부신 봄을 맞아 밥상에서 피어난다.
겨울 추위를 뚫고 올라온 봄나물 천국 -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태하리
울릉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선사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주민 이주가 시작된 것은 1882년부터. 이때 최초의 정착지가 바로 태하리이다. 오랜 세월 척박한 산자락에 기대어 화전을 일구며 삶을 개척해온 태하리 사람들의 삶은 겨울 추위를 뚫고 올라온 산나물의 강인함을 닮아있다. 이른 봄, 태하리의 아낙들이 산으로 향한다. 어느새 명이나물, 부지깽이나물, 전호나물이 잔설을 뚫고 싹을 틔웠다. 아낙들에게 봄은 몸이 가장 고달픈 계절이지만, 여전히 가장 설레는 시기다. 산나물은 그녀들에게 생활이자 삶,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그녀들이 차려내는 봄 밥상은 봄나물의 천국. 명이나물, 부지깽이나물, 전호나물 등이 상에 오른다. 태하리 사람들의 강인한 삶이 녹아있는 봄 밥상을 만나볼 수 있다.
울릉도 마지막 해녀의 봄 해산물 한 상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울릉도의 동남쪽에 있는 도동에는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들이 가장 먼저 도착하는 도동항이 있다. 50년 이상 물질을 해온 베테랑 해녀 김수자(78세) 씨는 이 도동항 앞바다를 터전 삼아 살아가고 있다. 울릉도에 남은 해녀 8명 가운데 아직도 물질을 하는 단 두 명의 해녀 중 한 명이다. 김수자 해녀는 2025년에도 첫 물질에 나섰다. 바닷가 사람들에게는 명이나물 못지않게 귀한 바다 나물인 대황으로 밥을 짓는데, 고향 제주도를 떠나 울릉도에서 물질을 하며 살아온 김수자 해녀와 박순열 해녀의 삶이 그 속에 담겨있다.
자식들을 위해 차려낸 어머니의 풍성한 봄 밥상 - 경상북도 울릉군 북면 나리
해발 450m 고지에 위치한 나리분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눈이 많이 내리고 겨울이 긴 곳이다. 한귀숙(71세) 씨는 자식들을 키울 때 해주곤 했던 추억의 음식들로 가족이 함께 먹을 밥상을 준비한다. 고로쇠 수액으로 담근 된장에 오징어의 간인 누런 창을 넣어 강된장을 끓이고, 홍감자로 빚은 골미죽을 내놓는다. 홍감자와 옥수수를 섞어 지은 밥까지 놓인 봄 밥상은 어머니의 정성이 고스란히 담긴 음식들로 가득하다.
봄의 황금 어장에서 건져 올린 밥상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저동리
울릉도의 가장 큰 항구인 저동항에 30여 년 전 울릉도와 독도를 오가던 유람선을 운항하면서 울릉도에 정착한 권인철(61세) 선장이 있다. 그물과 통발을 거두면서 참가오리, 자리돔, 홍해삼이 올라온다. 권 선장은 홍해삼을 참기름과 간장으로 무쳐내고, 문어숙회와 참가오리회를 준비한다. 토박이 선장들과 함께 나누는 이 봄 밥상은 울릉도의 새로운 맛을 찾아가는 과정이 된다.
-
등록일 13:00
-
등록일 13:00
-
등록일 09:00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